2025/07 17

시간의 예술가, 미카엘 베젤리(Michael Wesely), 장노출 사진으로 기록한 시간의 흐름

시간의 예술가, 미카엘 베젤리(Michael Wesely)장노출 사진으로 기록한 시간의 흐름현대 사진계에서 시간의 흐름을 가장 혁신적인 방식으로 포착한 인물 중 하나는 단연 미카엘 베젤리(Michael Wesely)다. 일반적인 사진이 순간을 정지시킨다면, 웨슬리의 작품은 수개월, 심지어 수년에 걸쳐 촬영되는 초장노출(long exposure) 기법을 통해 시간을 압축하고, 변화의 궤적을 하나의 이미지로 담아낸다. 이러한 그의 작업은 단순히 시각 예술을 넘어서 건축, 도시, 인간 존재의 흐름까지 사유하게 만든다. 본 글에서는 미카엘 베젤리(Michael Wesely)의 독특한 작품 세계와 그가 사용한 기술, 그리고 대표작을 통해 예술과 시간의 상호작용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은 특히 티스토리 블로그..

사진작가 2025.07.03

요르크 사세(Jörg Sasse), 일상의 아카이브를 예술로 재구성한 독일 사진의 실험가

일상의 아카이브를 예술로 재구성한 독일 사진의 실험가요르크 사세(Jörg Sasse) 사진은 진실을 보여주는가? 아니면 우리가 진실이라 믿고 싶은 이미지를 보여주는가? 독일 출신의 사진작가 요르크 사세(Jörg Sasse)는 이 질문에 오랫동안 시각적 실험으로 답해온 작가다. 그는 1980년대 후반부터 일상적 풍경 사진을 수집하고, 디지털로 조작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사진의 본질에 대해 지속적인 문제 제기를 해왔다. 특히 그는 자신이 직접 촬영하지 않은 이미지도 작품으로 전환하며, ‘누가 찍었는가’보다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더 집중하는 독창적 접근을 통해 독일 현대 사진의 흐름 속에서도 매우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한다.요르크 사세(Jörg Sasse)는 누구인가?요르크 사세(Jörg Sasse)는..

사진작가 2025.07.02

필립 샹셀(Philippe Chancel), 사진으로 권력과 미디어를 해부한 시각의 해커

사진으로 권력과 미디어를 해부한 시각의 해커필립 샹셀(Philippe Chancel)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 이미지와 현실 사이의 간극은 점점 커지고 있다. 그리고 이 틈을 치밀하게 파고들어온 한 사진작가가 있다. 바로 프랑스 출신의 필립 샹셀(Philippe Chancel)이다. 그는 20여 년 이상 다큐멘터리와 보도사진의 경계에서 활동하며, 권력, 소비주의, 국가 이데올로기, 미디어 환경에 대해 지속적으로 질문을 던져왔다. 그의 사진은 단순한 현실의 기록을 넘어, 이미지가 어떻게 조작되고 소비되는지, 그리고 그 결과 사회는 어떤 시각적 구조를 갖게 되는지를 날카롭게 분석한다. 필립 샹셀(Philippe Chancel)는 누구인가?필립 샹셀(Philippe Chancel)은 1959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사진작가 2025.07.02

안드레아스 게펠러(Andreas Gefeller), 우리가 보지 못한 세상을 사진으로 드러내는 예술가

우리가 보지 못한 세상을 사진으로 드러내는 예술가안드레아스 게펠러(Andreas Gefeller) 현대 사회는 위성 이미지와 드론, 그리고 무한한 정보의 흐름으로 인해 이제 ‘풍경’이라는 개념이 과거와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독일 출신의 사진작가 Andreas Gefeller(안드레아스 게펠러)는 이러한 시각적 변화를 반영하며, 전통적인 사진의 경계를 넘는 독창적인 방식을 통해 일상의 공간, 인공 구조물, 자연의 흔적을 전혀 다른 시점에서 기록한다. 특히 그는 높은 시점에서 촬영한 이미지들을 디지털로 결합해 만든 초현실적인 평면 풍경을 통해 현실과 데이터, 감각과 인식의 관계를 다시 사유하게 만든다.안드레아스 게펠러(Andreas Gefeller)는 누구인가?Andreas Gefeller는 1..

사진작가 2025.07.02

프랭크 틸(Frank Thiel), 도시와 사회 변화를 시각화한 독일 사진작가

도시와 사회 변화를 시각화한 독일 사진작가프랭크 틸(Frank Thiel) 현대 도시의 구조적 변화와 그 이면의 사회적 긴장감은 단순히 건축물이나 풍경의 변화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독일 출신의 사진작가 프랭크 틸(Frank Thiel)은 이러한 도시의 전환기적 풍경과 사회적 재구성 과정을 극도로 정제된 방식으로 포착해낸다. 특히 그는 독일 통일 이후의 베를린 재건 과정을 긴 시간 동안 관찰하고 기록하며, 인간의 흔적과 도시의 틀 사이에서 기억과 권력, 역사와 공간이 어떻게 조형화되는지를 탐구한다. 프랭크 틸(Frank Thiel)은 누구인가?프랭크 틸은 1966년 독일 클렘바흐에서 태어났으며, 1980년대 말 서베를린으로 거주지를 옮기며 본격적인 사진 활동을 시작했다. 틸은 형식적으로는 풍경 사진과..

사진작가 2025.07.01

나오야 하타케야마(Naoya Hatakeyama), 산업 풍경을 기록한 철학적 시선

산업 풍경을 기록한 철학적 시선나오야 하타케야마(Naoya Hatakeyama) 사진이라는 매체는 현실을 기록하는 도구로 여겨진다. 그러나 그 안에 담긴 시선과 철학은 작가마다 다르다. 일본의 사진작가 Naoya Hatakeyama(나오야 하타케야마)는 사진을 통해 산업화된 풍경과 인간의 흔적, 자연의 침식과 회복을 담담하게 추적해온 작가다. 그는 석회석 채석장, 콘크리트 구조물, 재개발 지역, 쓰나미 이후의 도시 등을 촬영하며 ‘도시’와 ‘자연’, ‘기록’과 ‘기억’ 사이에 놓인 긴장감을 형상화한다. 하타케야마는 단순한 다큐멘터리 작가가 아니다. 그는 사진이라는 평면 위에 시간, 공간, 역사, 인간의 흔적을 동시에 구성하는 철학적 작가다. 이 글에서는 그의 생애와 예술 세계, 주요 작품을 독창적으로 분..

사진작가 2025.07.01

토시오 시바타(Toshio Shibata), 인공의 질서와 자연의 감성이 교차하는 풍경

인공의 질서와 자연의 감성이 교차하는 풍경토시오 시바타(Toshio Shibata) 자연과 인간이 만들어낸 인공 구조물은 대부분 대립적 존재로 여겨진다. 특히 사진에서는 인공 구조물은 차갑고 무정한 사물로, 자연은 유기적이고 감성적인 대상으로 대비되곤 한다. 하지만 일본의 풍경 사진작가 Toshio Shibata(토시오 시바타)는 이 두 요소를 충돌시키지 않는다. 그는 오히려 자연과 인공의 조화, 정적이고 기하학적인 구도의 아름다움, 무인(無人)의 풍경에 스며든 인간의 흔적을 통해 풍경이라는 개념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한다.시바타는 일본 전역의 댐, 도로, 터널, 수로 같은 인공 구조물을 탐색하며 이들이 자연환경 속에서 만들어내는 독특한 시각적 긴장감을 담담하게 기록한다. 그의 사진은 절대 소란스럽지 않다...

사진작가 2025.07.01